"타협은 없다"... 러시아인 70% 제재 철회 위한 양보 원치 않아

(사진제공=예카테리나 제스노코바/리아 노보스티)

(사진제공=예카테리나 제스노코바/리아 노보스티)

러시아인의 70%가 러시아가 제재 때문에 절대 물러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러시아인 세 명 중 한 명은 제재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지지율을 고려할 때(최근 조사에서 그는 지지율 역대 최대치인 89% 기록) 러시아인들은 이런 상황에 개의치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전문가들은 만나 국민의 불만이 커지는 와중에도 대통령 지지율이 함께 상승세를 타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들어보았다.

러시아인 70%는 러시아가 서방의 대러 제재에 대해 절대 타협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다는 것으로 '레바다센터'의 6월 여론조사에서 나타났다. '타협와 양보를 통해 제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답한 사람은 20%였다. 이와 함께 사회학자들은 러시아 국민 세 명 중 한 명이 제재로 인한 심각한 문제들을 겪고 있지만, 이것이 상승세를 타고 있는 대통령 지지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고 확인했다.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 대한 러시아 국민의 지지율은 89%로 다시 한 번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모래 속의 타조'

서방의 대러 제재에 대한 무시 정책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남부와 크림에 대한 기존 정책을 견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숫자에는 실제로 큰 변화가 없다. 연초부터 이들의 숫자는 겨우 1% 증가했고 작년 9월과 비교해도 2% 증가에 불과하다. 타협안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에도 큰 변화는 없다. 실제로 변하고 있는 것은 러시아 사회 내에 미래에 대한 공포와 군사 침입에 대한 우려, 현재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나탈리야 조르카야 '레바다 센터' 사회·정치연구실장이 Russia포커스와의 인터뷰에서 이야기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의 다른 조사들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응답자 60%가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말하고 있다"고 조르카야 실장은 설명했다. 바로 이러한 이유때문에 사람들은 "국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 팔짱을 낀 채" 그에 대한 모든 책임을 최고 지도자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레바다 센터'는 평가했다.

콘스탄틴 칼라체프 정치전문가그룹 소장도 이에 동의하고 "이는 위험이 닥치면 머리를 모래에 박고 숨는 타조를 연상시킨다. 사람들은 생각할 권리를 대통령에게 위임했다. 사실 지금까지 대통령은 그들의 기대감을 충족시켜줬다. 최근 몇 년간 물질적 행복이 증가했고 옛 영토도 다시 회복했다"고 말했다. 결국 푸틴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러시아 국민의 신뢰를 무너뜨리려던 대러 제재는 아직까지는 오히려 국가 지도자를 중심으로 국민이 단결하게 만드는 정반대의 결과를 낳았다고 친크렘린 성향의 레오니드 폴랴코프 고등경제대학 정치학과 교수는 단언했다. "실제로 러시아 국민 상당수가 서방의 대러 제재 효과를 실감하고 있음에도 그렇다"고 폴랴코프 교수는 덧붙였다.

에볼라와 동급?

Russia포커스가 만난 모든 전문가는 실제로 지금까지는 대러 제재로 인한 문제들이 외부의 적 이미지로 희석되고 있고 민족 존엄성을 지킨 대가로 인식되고 있다고 인정했다. 이와 동시에 민간 사회학센터 '크리시타놉스카야 연구실' 소속 분석가 미하일 코로스티코프는 "러시아 일반 국민은 대러 제재가 아니라 그에 대한 러시아의 맞제재로 피해를 입고 있다"고 확신했다. 그는 "하지만 머릿속에서는 이러한 경계가 흐려졌을 가능성이 크다. 국민들이 강경 정책을 지지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러시아인 70% 이상이 해외용 여권을 갖고 있지 않으며, 거의 같은 비율의 사람들이 전혀 저축을 하지 않기 때문에 루블 가치 폭락으로 인한 영향을 느끼지 못했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복수의 열망(응답자 38%는 강경한 맞제재를 지지했다)은 서방이 러시아를 취급하는 방식에 대한 불만에서 싹튼다. "현재 러시아는 무장 테러단체인 '이슬람국가(IS)'나 에볼라 출혈열과 완전히 동급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는 러시아인들의 반감을 자극하지 않을 수 없다. 맞제재가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코로스티코프는 설명했다.

러시아가 서방의 제재에 절대 물러서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70%에 달한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전문가들은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이는 결국 양적 연구의 결과일 뿐으로, 사람들은 현 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반사적으로 '그렇다, 아니다, 모른다'고 대답하는 것이라고 칼라체프 소장은 주장했다. 그는 "하지만 예를 들어 일본산 기저귀나 독일산 의약품이 러시아에서 사라지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그들에게 묻는다면, 상황은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코로스티코프는 "사실 이건 여론조사가 아니라 사람들이 최근 텔레비전에서 본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 질문"이라고 말했다.

"더 나빠지지만 않으면..."

대통령 지지율이 역대 최고치를 찍은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은 인기 없는 개혁 추진 등 정치적 운신의 폭이 매우 넓어졌다고 폴랴코프 교수는 지적했다. 연금 수령 연령 상향 조정과 국영 독점기업들에 대한 더 강경한 정책을 예로 들 수 있다. 하기는 알렉산드르 브레찰로프 전러시아국민전선(ОНФ, 2011년 푸틴 당시 총리가 만든 사회·정치 조직) 중앙본부 공동의장과 알렉세이 쿠드린 전 재무장관도 "푸틴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이 개혁을 위한 기회"라는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개혁을 원치 않는다고 전문가들은 확신했다. "사람들은 반대로 개혁에 대한 이야기에 예민한 반응을 보인다. 제2의 페레스트로이카를 두려워하는 것"이라고 칼라체프 소장은 말했다. 그는 "심지어 대통령이 모든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지지율이 폭락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1990년대 상황을 대표하는 옐친 대통령과 대비되는 푸틴 대통령의 이미지가 사람들의 머릿속에 남아 있는 이상 걱정할 게 아무것도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푸틴 대통령의 재임 기간을 상징하는 핵심어가 '안정'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국민이 푸틴 대통령에게 개혁을 기대하고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더 나빠지지 않는 것"이라고 코로스티코프는 단언했다.

관련 기사 >>> 러 '가상 대선' 여론조사... 푸틴 압도적 승리

This website uses cookies. Click here to find out more.

Accept cook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