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에서 유래한 재미난 표현들

(일러스트=니야즈 카리모프)

(일러스트=니야즈 카리모프)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뷔페’, ‘늑목’, ‘폴리아모리 가정’ 같은 표현은 모두 스웨덴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뷔페를 러시아어로는 ‘스웨덴식 상차림(шведский стол)’, 늑목은 ‘스웨덴식 철봉(шведская стенка, swedish bars)’이고 폴리아모리 가족은 ‘스웨덴식 가정(шведская семья)’이라고 한다. 러시아어에선 도시명과 국가명이 특정한 사물이나 개념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러시아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선 롤러코스터를 '러시아의 언덕들(Russian hills)'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러시아에서 롤러코스터는 '아메리칸스키예 고르키(американские горки)', 즉 '미국의 언덕들'이라 불린다. '런던의 안개(лондонский туман)'란 표현은 다양한 언어에서 볼 수 있지만, '아르메니아 라디오(армянское радио)'란 말은 아마 구소련 지역에서만 알 것이다. 아르메니아 라디오란 소련 시절 유행한 유머로 왜 다름아닌 아르메니아 라디오가 그 주인공이 됐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줄거리는 항상 똑같다. 청취자가 아르메니아 라디오에 전화를 걸어 어떤 엉뚱한 질문을 하면 아르메니아 라디오에선 생각지도 못한 더 엉뚱한 답을 내놓는 식이다. 그 유머의 핵심에는 소련 사회에 대한 풍자가 있었다. '중국'이란 국가명이 들어간 러시아어 표현으로는 '중국 수수께끼(китайская головоломка, 머리가 어지러울 만큼 복잡한 일)'와 '중국의 최후통첩(последнее китайское предупреждение, 현실성 없는 위협을 남발하는 것)'가 있다. '스페인'과 관련해선 무엇보다 중세의 고문 도구 '스페인 장화(испанский сапожок)'를 들 수 있다.

이런 표현 중 어떤 것은 예술 작품에서 비롯되기도 했다. '마드리드 궁전의 비밀(Тайны мадридского двора, 권력 기관에서 벌어지는 음모)'이란 표현은 19세기 독일 작가 게오르그 보른이 쓴 동명의 소설에서 나왔다. '모스크바 근교(Подмосковье)'는 유명한 노래 '모스크바 근교의 저녁(Подмосковные вечера)'과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다.

'스위스인의 정밀함(швейцарская точность)', '독일인의 시간관념과 완벽주의(немецкий пунктуальность и аккуратность)'라는 표현도 자주 쓰인다. 전자는 시계 덕분에 나온 표현이고, 후자의 경우 최근에는 '독일 포르노'라는 표현으로 더 자주 만난다. '아르헨티나' 하면 탱고, '칠레(Чили)' 하면 매운 고추(칠리)를 바로 연상한다.

또 하나의 특이한 매운 음식으로 최근 인기 있는 '한국식 당근채(корейская морковь)' 샐러드가 있다. 이 샐러드로 샌드위치를 만들려면 '프랑스 흰빵(французская булка)'에 '네덜란드 치즈(голландский сыр)'나 '크라쿠프 소시지(краковская колбаса)'가 필요하다. ('프랑스 흰빵'은 1940년대 코스모폴리타니즘과의 투쟁이 벌어지면서 '도시 흰빵(городская булка)'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다국적 만찬에는 '체코 맥주(чешское пиво)'나 '리가 발잠(рижский бальзам)' 같은 동유럽 음료를 올리면 좋을 듯 하다. 소련 시절이라면 '모스콥스카야(Московская)'나 '스톨리치나야(Столичная)' 보드카를 곁들였겠지만, 최근 이 브랜드는 사실상 유통되지 않는다. 디저트로는 농축 우유가 들어간 '바르샤바 커피(кофе по-варшавски)'에 '베를린 쿠키(берлинское печенье)', '툴라 당밀과자(тульские пряники)', '키옙스키' 케이크(торт "Киевский"), '레닌그랏스코예' 아이스크림(мороженое "Ленинградское")을 곁들이면 된다.

전 세계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러시아의 동쪽 '시베리아'란 일년 내내 겨울만 계속되는 곳이다. 하지만 러시아인에게 시베리아는 그처럼 두려운 곳은 아니다(시베리아의 상당 부분에 꽤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단지 콜리마, 캄차카처럼 아주 외떨어진 장소들에 다소 부정적인 느낌을 받을 뿐이다. 예를 들면, 1960년대 소련의 컬트 코미디 영화 '다이아몬드 팔(Бриллиантовая рука)'에서 주인공이 우연히 만난 사람에게 이런 말을 듣는다. "우리 콜리마에 놀러 오세요!" 그러자 깜짝 놀라 사레가 들린 주인공은 이렇게 대답한다. "아니요, 그냥 당신이 오는 게 낫겠어요!"(이 대사는 굉장히 인기 있는 '밈(meme)'이 되었다). '캄차카'는 보통 학급에서 맨 마지막 줄을 부르는 말이다.

러시아에서 비교적 멀지 않은 미국 알래스카가 러시아어로는 전혀 다른 의미가 있다. 털 달린 모자가 있는 따뜻한 오리털 잠바를 러시아에서는 '알래스카(аляска)'라고 부른다. 날이 둥근 아이스하키용 스케이트는 '캐나다(канады, 복수형)', 여름 모자는 중미의 나라 이름을 따서 '파나마(панама)', 짧은 여름 바지는 버뮤다 제도에서 따서 '버뮤다(бермуды, 복수형)'라고 부른다. 1950~60년 대 아직 진짜 미제 청바지가 소련에 들어오지 않았을 때, 소련(혹은 동유럽)에서 제작된 비슷한 바지를 '텍사스(техасы, 복수형)'라 불렀다는 점도 흥미롭다.

'옷'을 주제로 진도를 더 나가보자. 일리야 일프와 예브게니 페트로프가 쓴 유명한 협잡꾼 소설 ('12개의 의자') 주인공 오스타프 벤데르(Остап Бендер)는 사람들이 전부 흰 바지를 입고 다니는 신비의 도시로 떠나길 꿈꾸며 러시아 시골 마을에서 소소한 사기를 치던 중 "이건 리우데자네이루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Нет, это не Рио-де-Жанейро!)"이라며 실망스럽게 외친다. 다른 희생양의 혼을 쏙 빼 놓기 위해선, 가짜 모피를 놓고 이렇게 칭찬한다. "당신은 속았어요. 당신이 받은 건 훨씬 좋은 모피에요. 멕시코산 날쥐가 아니라 상하이산 눈표범이라고요!" 그때부터 '상하이산 눈표범(шанхайский барс)'은 싸구려 위조품을 지칭하는 말이 됐다. 러시아의 여러 지방 특산 브랜드로는 '볼로그다 레이스(Вологодские кружева)', '오렌부르크 숄(Оренбургские платки)', 혹은 '호흘로마(Хохлома)', '팔레흐(Палех)', '그젤(Гжель)'(무늬가 그려진 나무수저, 보석상자, 도자기 식기)처럼 생산된 지역의 이름이 붙은 공예품이 있다.

러시아 사람들에게 벽촌 마을의 대명사는 러시아 유럽 지역 한가운데 위치한 도시 탐보프(Тамбов)다. 그런가 하면 날카로운 유머의 중심지는 자타공인 남부의 오데사다(지금은 우크라이나 영토. '오데사 유머'라는 관용표현도 있다)다. 러시아어에서 남쪽은 여유와 휴식의 공간, 북쪽은 힘든 노동의 공간을 의미한다. 옛날부터 '북쪽'은 돈을 벌기 위해, '남쪽'은 돈을 쓰기 위해 가는 곳이었다.

(동영상제공=YouTube)

서양과 동양도 고유의 특징이 있다. 서양이 문명과 진보라면, 동양은 보수적인 전통과 신비로운 수수께끼다. 1960년대 소련사회에서 선풍적인 대중적 인기를 누린 '이스턴'('웨스턴'에 대응하는 표현) 영화 '사막의 하얀 태양(Белое солнце пустыни)'에서 주인공이 읊조린 "동양은 미묘한 것(Восток - дело тонкое)"이란 대사 또한 이제 하나의 밈이 되었다.

This website uses cookies. Click here to find out more.

Accept cookies